반응형

전체 글 545

[책리뷰]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 - 복거일

저자 복거일 평점 7 개요 영어 공용화론은 꽤나 오래된 논쟁으로, 지금은 쉬쉬하고 있지만 그것이 의미가 없어서가 아니라 그 얘기를 꺼낸 사람은 집단적이고 조직적인 다굴을 당하기 때문에 아무도 그 이야기를 꺼내려는 사람이 없어서이다. 영어 공용화론은 2003년 즈음, 작가 복거일의 주장으로 점화되었는데, 당시 아시아에서는 필리핀, 싱가폴, 인도 등 이미 영어를 공용어로 쓰는 국가들이 있었고, 그 중 필리핀을 제외하고 싱가폴의 경우 1인당 GDP 6만 달러의 고지를 넘어 1인당 GDP순위 세계 8위의 강국이 되었으며, 인도는 비록 후진적 인프라와 사회적 폐습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포션이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과 연계하는 사업이 늘어나면서 영어 공용화의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할 수 있..

리뷰/책 2021.05.11

동학 농민운동과 일진회

동학은 1860년 최제우가 창시한 종교로 현재는 천도교라 불리고 있으며, 지금도 명맥을 잇고 있는데, 대통령이 종교 지도자들 모아서 밥먹을 때 4대 종파에는 들어가지 못하지만 그래도 얼굴을 비추는, 10만여명의 신도를 가지고 있는 종교이다. 동학농민운동은 1893년부터 1894년까지 충청도와 전라도 일대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농민반란으로 알려져있으며, 녹두장군 전봉준이 동학 농민운동을 이끈 사람으로 유명하다. 얼마나 유명한지 종로 한복판에 동상도 세워져 있다. 일진회는 1904년 송병준, 이용구, 윤시병 등이 만든 한반도 역사상 최초이자 회원 규모가 14만여명에 이르는 시민단체로 친일활동을 했고 실제로 한일합방을 청원하기에 이르는 등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가 되는데 가장 앞장섰던 단체라고 할 수 있다. 두 ..

시사/사회 2021.05.11

일본이 독도를 자기 땅이라 주장하는 이유

독도는 사실 영토분쟁이 될 일이 아닌데, 일본에서 영토 분쟁화에 성공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막말로 일본이 뭐라 하든 우린 어처피 우리 땅이라 생각하고 대응을 안하면 되는데, 무슨 대마도는 한국땅 독도도 한국땅 이러고 있으니, '야 그럼 한번 까봐 x발' 이렇게 된 것이다. 근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이 마치 아무런 근거도 없이 막무가내로 독도를 자기 땅이라 우기는 줄 아는데, 일본도 나름의 근거를 갖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를 알고 있어야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리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신라의 우산국 정벌 이후 울릉도에 속하게 된 독도는 일본의 과거 문헌에서도 한반도에 속한 땅이라고 명시가 되어있긴 하다. 그러나 그건 말그대로 중세시대 일이고, 근대적 개념에서 독도의 영유권이 공식적이고 국제적으..

시사/사회 2021.05.11

[책리뷰] 들풀에서 줍는 과학 - 김준민

저자 김준민 평점 7 개요 고등학교 땐 막연하게 과학이 좋았지만 수능을 감당할 만큼의 이해도는 부족하다고 스스로를 평가절하한 것인지, 잘 파악한 것인지 여튼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다. 대학교를 다니면서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과학 교양들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찾아들었지만 하필 대학교 강사 정규직화로 학교 자체적으로 강사 수를 줄이고 강의 갯수를 줄이는 바람에 필이 꽂히는 과학 교양을 2학년 이후 더 이상 찾지 못하였다. 그렇다고 과학 전공을 듣기에는 과학 분야의 지식이 과문하여 엄두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을 쉽게 풀어주는 좋은 책들이 시중에 꽤 있었고 관심만 있다면 언제든지 접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입문용으로 좋은 책이라고 추천받게 되어 을 읽게 되었다. 내용 이 책은 기본적으론 식물학에 ..

리뷰/책 2021.05.11

[영화리뷰] 사일런스(Silence)

감독 마틴 스콜세지 출연 앤드류 가필드, 아담 드라이버, 리암 니슨, 아사노 타다노부, 고마츠 나나 외 개봉 2016년 11월 29일 평점 9 개요 엔도 슈사쿠의 소설 을 원작으로 한 마틴 스콜세지의 영화 사일런스는 종교인이라면 누구나 가질 법한 신앙적 딜레마를 주제로 한다. 놀라운 것은 기독교를(이 글에서 사용하는 '기독교'는 예수를 믿는 종교 일반을 뜻함. 천주교, 개신교 등을 모두 포함) 주제로 한 세계적인 소설이 일본에서 나왔다는 점인데, 아직도 기독교 볼모지인 일본이라는 점에서 문화적, 신앙적 경외감이 들 정도다. 오히려 종교가 신성 불가침 영역이 되어 종교 비판 뿐 아니라 신앙에 대한 천착조차 말하면 싸우게 되는 주제가 되어버렸기 때문에 대한민국은 이를 다루는 선순환이 마비된 환경을 갖고 있는..

리뷰/영화 2021.05.10

다가오는 대한민국의 재정위기

이 글은 2014년 경에 쓴 글인데, 블로그 이사 중 지금도 그 내용은 유효한거 같아서 옮겨적습니다. ----- 2008년 세계를 휩쓴 금융위기 이후로 유럽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는데, 특히 남유럽 4개국은 심각한 재정위기 때문에 PIGS(포르투갈,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라 불리며 국가 신용도가 많이 추락했다. 재정위기는 심플하게, 들어오는 돈 보다 쓰는 돈이 많아서 생기는 현상인데, 고전적 경제학자들이 국가의 재정건정성을 항상 신경쓰는 이유가 재정위기는 심각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재정위기는 옆 나라 일본도 조짐이 보이고 있는데, 실제로 일본의 국가 부채가 심각하다고 한국에도 크게 보도가 된 적이 있다. 日 국가채무 사상 첫 1000조엔 넘어…소비세 인상에 무게 일본의 국가 채무가 사상 처음으..

시사/경제 2021.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