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사회 140

평화의 우리집 소장 사망 사건

서울 마포 연남동에 있는 위안부 시설로 알려진 평화의 우리집의 소장이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타임라인 20년 5월 21일 검찰, 정의연 기부금 부정사용 의혹 건으로 길원옥 할머니가 거주하고 있는 평화의 우리집을 압수수색. 검찰, 길원옥 할머니 거주 ‘평화의 우리집’ 압수수색 정의연 “할머니 건강 감안, 협조 약속하며 인권보장 요청했는데…” 유감 표명 www.hani.co.kr 20년 6월 7일 나눔의 집 소장 사망 발견. 경찰은 "타살 혐의점이 없어보인다"고 발표. 부검은 유족의 의견을 들어보고 결정 예정. 경찰 "위안부 쉼터 소장 부검 결과 '극단적 선택' 추정" 지난 6일 숨진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 쉼터 손영미 소장에 대한 부검 결과 '범죄 혐의점이 없다'는 1차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기 파주경찰..

시사/사회 2021.10.03

8.15 광화문 집회가 코로나 확산의 원인이라고?

정부의 주장에 따르면, 8월 코로나(SARS COVID 2)가 순조롭게 잡히고 있었는데, 극우 성향의 보수 단체들이 8.15일 광 화문 집회를 강행하면서 방역 체계가 무너졌고 강력한 2.5단계 방역을 시행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이낙연, 정세균 등 좌익 정치인들도 8.15 광화문 집회 때문에 코로나 환자가 급등했다는 얘기를 하면서 흡사 파시즘 국가의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실제 통계를 살펴보자. 위 통계 표를 보면 확진자는 8월 14일부터 급등하기 시작해서 8월 27일 약 440명의 확진자를 정점으로 이후 하락세를 그리고 있다. 코로나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밝혀진 사실을 나열해 보자면 1) 코로나는 평균 잠복기가 5일~6일이다. 2) 95%의 감염자가 11일 이내에 발병했다. 3) 한국의 경우 감염된지..

시사/사회 2021.10.03

정부가 독감 백신 사망을 무시하는 이유

독감백신 접종후 사망 48명…정부 "상호 인과성 낮아 접종 계속"(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김다혜 기자 =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맞은 뒤 사망한 사람이 48명으로 늘어났지만, 정부는 사망과 백신 접종 간의 ... www.yna.co.kr 2020년 10월 24일 오후 4시 시점 기준으로 48명이 독감백신 접종 후 사망하면서 독감 백신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고 있 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의 말처럼 기저질환이 있는 노인이 죽은 것이기 때문에, 백신 때문에 죽었다고 섣불리 말할 수 없다는 것은 원칙적으론 맞는 말이다. 물론 코로나로 어디 갔다왔느냐 묻고, 갔다온 장소가 광화문인 경우 단정적으로 이 사람이 광화문에서 퍼뜨렸다고 한 주제에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없긴 하지만 말이다. 박능후..

시사/사회 2021.10.03

메릴랜드 K-진단키트 사건

사건 개요 한국의 바이오업체가 미국 메릴랜드에 covid19 진단키트를 수출했고 이는 k-방역의 위대한 사례 중 하나로 포장되곤 했 다. 그러나 9월 중순 메릴랜드에 수출했던 진단키트에 문제가 있다는 볼티모어 타블로이드의 보도가 나왔다. 이는 곧장 메릴랜드 주정부의 반박으로 오보라는 보도가 나왔고 이 사건은 그저 한국의 k방역을 폄훼하려는 가짜뉴스의 시도 중 하나로 낙인찍혔다.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 그러나 2020년 11월 21일 워싱턴 포스트에서 메릴랜드 진단키트가 불량이 맞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9월에 논란이 되었던 한국산 진단키트 불량이 사실로 확인되는듯 하다. Maryland's coronavirus tests from South Korea were flawed; Hogan had to replac..

시사/사회 2021.10.03

[페이스북 펌] 위안부 문제를 다시 생각한다

페이스북 박유하 세종대 교수 글 펌 ----- 1. 역사의 사법화 한일관계가 빈사상태다. 1965년에 수교를 회복한 이후 “사상최악”이라는 표현을 쓰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해마다 열어왔다는 한일경제인 회의가 연기되었고, 지금과 같은 정황이 이어지는 한 6월에 일본에서 열리는 G20 회의에서 한일수뇌 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크지 않다. 그런데 한국인들은 대부분 그런 현황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나쁜 건 일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까칠한 일본의 태도를 적반하장이라고만 여긴다. 한일관계가 좋지 않은 건 일본의 정치가들이 국내정치에 이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한 대통령의 인식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이런 인식은 틀렸다. 대통령도 이제는 한일관계회복을 바라고 있는 듯 한데, 분석이..

시사/사회 2021.10.03

전교조의 한미 FTA 반대

2018년 초 한미 FTA의 재협상 혹은 파기를 고려하겠다는 미국의 주장이 있었다. 2017년 7월 강경화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에서 한미 FTA 재협상 얘기가 없었다고 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한국에 FTA 특별 공동위원회 개최를 요구하면서 강경화 장관의 얘기가 거짓임이 드러났다. 결국 2018년 1월 5일 한미 FTA 1차 개정협상이 열렸다. 미국이 나서서 개정을 요구하는 이유는 정치적인 압박일 수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한국이 혜택을 많이 보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노무현 정권 당시 한미 FTA체결과 관련해 수많은 단체들이 반대했고 마치 미국경제에 한국이 종속될 것처럼 말한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나 지금 한미 FTA의 효과는 눈으로 보일 정도다. 한미 FTA를 반대하는..

시사/사회 2021.10.03